뉴스/논객의 기고글 모음

닥터윤의 알기쉬운 경제 첫번째 이야기

Mr. Han 2008. 12. 23. 18:12

닥터윤의 알기쉬운 경제 첫번째 이야기

 

  • 닥터윤 

     

      

    20081219 경제에 대한 기본개념 공부하기(금융비타민 닥터윤)

     

    안녕하세요? 닥터윤입니다. ^&^ 어제는 제가 하루 쉬었죠!! 요즘 논문이나 여러 가지 강의가 많아서^&^ 실력도 없으면서 바쁜척해서 죄송해요!! ^&^ 무튼 여러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더욱 쉽게 다가서기위해 노력 많이 할께요!! 워낙 상승미소나 SDE님과 같은 미네르바에 버금가는 고수분들이 많으셔서!! ^&^ 그래서 저같이 촌동네 무지랭이는 ㅋㅋ 이렇게 입문강좌를 도와드리고자 합니다!! ^&^ 암튼 경제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할께요!! ^&^ 제가 이전에 적어드린 것들, 예를들면, 경제의 10대원리나 케인즈학파와 통화주의 학파등은 너무 어려워 하시는 것 같고 ^^ 그리고 오늘 하게될 입문강좌부터 했어야 했는데 ㅋㅋ 무튼 강의 들어가긴전에 이번 강의 키워드는 알아두고 가요!! ^^ 아래표에 제가 정리해둔 키워드는 꼭 확실히 챙기고 들으시면 아마도 더욱 쉬울꺼에요!! ^^ 자 그럼 들어갑니다...


    경제기본개념 키워드를 먼저 익혀두십시다!! ^^ 키워든 아래표와 같아요!!







    경제에 대한 기본개념 공부전 키워드^&^

    ① 경제의 정의(서비스, 재화, 경제)

    ② 경제성장(국민경제, 순환, 성장)

    ③ 경제상태(경제지표)

    ④ 실물경제, 금융경제

    ⑤ 미시경제, 거시경제


    1. 경제에 대한 기본개념(서비스, 재화, 경제)을 한번 우리의 가슴속에 탑재를 합시다!! 자아 그럼 출발합니다! 경제란 무엇일까요? 경제가 가지고 있는 정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경제란 재화와 서비스를 만들어내고, 만들어내고, 팔고, 사고, 쓰는 활동 모두를 한 마디로 뭉뚱그린 말입니다. 그렇다면 재화와 서비스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재화란 무엇일까요? 사람이 살려면 여러 가지 욕망을 채워야 하지요? 배가 고프면 음식을 먹어야 하고 추위를 피하려면 옷을 입어야 하듯이 사람들의 욕망을 채워주는 물건을 '재화'라고 부른답니다. 서비스란 무엇일까요? 재화는 보통 음식이나 옷처럼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건을 가리킵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거나 손으로 만질 수 없는 재화도 있습니다. 미용사의 수고는 손으로 만져볼 수는 없으나 머리 손질을 원하는 사람의 욕망을 채워줍니다. 이처럼 남의 욕망을 채워주는 사람의 수고는 재화 중에서도 '용역(用役)' 곧 '서비스(service)'라고 부릅니다. 이는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보통 재화와 구별합니다.


    경제성장(국민경제, 순환, 성장)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국민경제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경제를 나라 단위로 지칭할 때 국가경제 혹은 국민경제(national economy)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국민경제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국민경제는 가계, 기업, 정부 등 3대 부문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가계, 기업, 정부를 국민경제의 3대 주체라고 부릅니다. 국민경제의 3대 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는 시장(market)에서 만나 서로 재화와 서비스를 교환합니다. 이 과정에서 재화와 서비스는 생산, 유통, 소비, 생산, 유통으로 순환을 거듭합니다.  이처럼 재화와 서비스가 생산, 유통, 소비, 생산, 유통으로 순환을 거듭하는 것을 ‘경제 순환’이라고 합니다.

    2. 경제성장의 의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해요!! ^&^

    경제성장? 경제순환이 거듭되다 보면 시장에서는 생산․유통․소비되는 재화나 서비스가 점점 많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경제는 순환하면서 규모가 점점 커지게 됩니다. 이렇게 경제 규모가 커지는 것을 가리켜 ‘경제가 성장한다’고 말합니다.  경제가 성장하면 재화와 서비스가 더 많이 생산․유통․소비됩니다. 그만큼 기업 수나 일자리도 늘어나게 되고, 사람들의 생활도 전보다 풍족해지죠. 경제퇴보? 경제는 반드시 성장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에서 생산, 유통, 소비, 생산으로 경제가 순환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 적어질 수도 있습니다. 전보다 재화․서비스 생산량이 줄면 시장에서 유통, 소비되는 재화․서비스의 양도 줄어들게 됩니다. 경제 규모가 줄어드는 셈이죠. 이렇게 경제 규모가 줄어드는 경우를 두고는 ‘경제가 퇴보한다’고 말합니다. 경제가 침체하면 재화․서비스가 전보다 적게 생산․유통․소비되는 만큼 기업 수나 일자리가 줄고 실업자는 늘어나게 됩니다. 그만큼 사람들 생활도 전보다 여유가 없어지게 되죠


    3. 경제상태는 무엇으로 알아보나?? (==> ^&^경제지표 ) 흔히 경제가 성장한다느니 퇴보한다느니 말합니다. 하지만 경제 상태를 그림 보듯 한눈에 볼 수는 없죠. 그렇다면 무엇을 통해 경제가 좋아졌느니 나빠졌느니 얘기하는 것일까요? 돈벌이가 시원치 않거나 상인들은 물건이 잘 안팔릴때 보통 경제가 나빠졌니? 뭐 이러면서 한탄하잖아요.... ^&^ 이런 진단이 반드시 틀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경제 상태를 파악할 경우 아무래도 그 판단이 단편적 부분적이기 쉽고 그래서 부정확하기 쉽겠죠? 경제 흐름을 종합적이고 전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요? 경제 흐름을 종합적이고 전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경제전문가나 연구기관, 정부 경제정책 당국 등은 주로 ‘경제지표(economic indicator)’를 사용합니다. 우선 지표란 무엇일까요? 지표란 어떤 현상을 측정해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나타내는 표시로, 보통 간단한 숫자 형태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경제지표는 무엇일까요? 경제지표는 경제의 주요 부문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측정해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지표입니다. 숫자로 된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국제수지, 실업률 같은 것들이 전형적인 예죠. 그렇다면 경제지표는 어디에서 만들까요? 우리나라에서 주로 한국은행이나 통계청 같은 정부통계기관 혹은 국영․민간 경제연구소 등에서 전문 통계기법 등을 써서 다양한 경제지표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경제지표를 마치 온도계처럼 활용해 경제 상태를 여기저기 진단하죠.



    경제지표를 보고 경제가 어떻다고 말할 수 있으면 이미 전문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전문가나 정부 경제정책 당국이 경제 실태를 분석, 평가, 진단할 때도 다들 경제지표를 필수도구로 사용합니다. 경제지표를 볼 줄 알면 그만큼 경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를 보면서 경제가 어떻다고 말하는 습관을 붙이면 경제 흐름을 한층 종합적 객관적 전문적으로 볼 수 있게 되겠죠?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홈페이지에서도 경제지표의 실례를 찾아보세요.


    4.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다음 두 가지 상황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경제를 볼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돈의 흐름을 보는 일입니다. 다음 두 가지 상황을 돈의 흐름을 중심으로 살펴봅시다. 두 가지 상황의 차이점을 써봅시다. 한가지 상황은 자동차 딜러와 자동차 구매자와 관계를 설정하고 나머지는 은행에서의 고객과 텔러간의 상황을 생각해보죠! 이것은 재화․서비스의 대가로 돈이 움직이는 분야입니다, 책을 사거나 파출부를 고용하는 대가로 돈을 낼 때 돈과 책, 돈과 파출부의 서비스는 함께 움직이게 되죠? 이처럼 재화․서비스와 돈이 서로의 대가로 함께 움직이는 경제 분야를 ‘실물경제’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2번째 상황 즉 은행에 예금하거나 증권회사를 통해 주식을 살 때는 돈만 움직이게 되죠. 이 경우 돈이 움직이는 동기는 다른 재화․서비스의 대가를 치르기보다 예금, 투자로 돈을 더 불리려는 데 있습니다. 예금을 하든 투자를 하든 예금자, 투자자와 금융기관 사이에는 돈만 오가게 됩니다. 이처럼 돈만 흐르는 경제 분야를 ‘화폐경제' 혹은 ‘금융경제’라고 부릅니다.



    어떤 사람이 100만원으로 냉장고를 살까 주식을 살까 망설이고 있습니다. 이 사람은 돈을 실물경제 부문과 금융경제 부문 가운데 어느 쪽으로 돌릴지 주저하는 셈이죠. 현실 경제에서는 실물경제와 금융경제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때도 많습니다. 은행이나 증권사는 주로 금융경제 분야에서 상거래를 하지만 창구 등에서 고객에게 예금․투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기도 하는 것이 그 예이죠. 이런 경우는 실물경제 활동으로 볼 수도 있답니다.


    5.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경제의 모습은 카메라 렌즈와 같이 시야를 크게 잡느냐, 작게 잡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카메라 렌즈조절 바를 Zoom in, Zoom out으로 이동하여 미시경제와 거시경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카메라의 zoom in 기능처럼 시야를 작게 해서 경제를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국민경제에 참여하는 가계, 기업, 정부 이라는 각 경제 주체의 활동 하나하나에 주목하는 방법입니다. 이처럼 시야를 작게 해 파악하는 경제를 미시경제(micro-economy)라고 합니다. 미시경제의 전형적 주제는 기업의 매출액이나 이익, 가계의 소득이나 저축 같은 것들을 들 수 있습니다.

    카메라 렌즈조절 바를 zoom out으로 옮겨 보세요. 카메라의 zoom out 기능처럼 시야를 크게 해서 경제를 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각 경제주체들의 활동이 모여 이뤄내는 국민경제 전체의 과정과 결과를 주목하는 방법입니다.  이처럼 시야를 넓게 잡아 파악하는 경제를 거시경제(macro-economy)라고 합니다. 거시경제에서는 경제성장이나 실업, 인플레이션, 재정 같은 문제를 다룹니다.


    경제현상을 미시적으로 볼때는 옷 값, 음식 값, 버스요금 등을 따로 따로 파악합니다. 하지만 경제를 거시적으로 볼때는 개별재화의 요금은 ‘물가’라는 이름 하나로 합쳐서 파악을 하죠! 경제지표라도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의 논리로 구분할 수 있어요. 미시경제현상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는 미시경제지표, 거시경제현상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는 거시경제지표라고 합니다. 개별기업이나 금융기관들의 연간매출액을 따로 계산해 나타낸 숫자는 미시경제지표가 된다. 그런데, 국민경제 전체에 걸쳐 새로 만들어진 부가가치를 합산한 GDP는 거시경제지표이다. GDP 이외에 국민경제 상태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경제지표를 곧 국민소득, 물가상승률, 종합수지 같은 것도 모두 거시경제지표입니다. 정부는 주로 거시경제지표를 보고 경제정책을 어떻게 운용할지 참고합니다. 정부가 경제정책을 쓰기에 따라서는 기존 경제지표의 모습도 달라질 수 있다. 국민경제가 이자율이 높아 투자가 부진하고 국민소득이 낮은 상태라고 할 때 정부는 이자율이 낮아지는 쪽으로 거시경제 정책을 써서 투자를 늘림으로써 국민소득을 올릴 수 있다.


    <경제기본개념 총요약>

    자~~!! 공부 잘했죠!!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했는데.. ^^ 어땠는지.. 무튼 우리 다시한번더 공부한 것 요약정리해볼까요!! 경제란 재화와 서비스를 만들어내고(생산) 팔고(판매) 사고(구매) 쓰는(소비) 활동 모두를 한 마디로 뭉뚱그린 말입니다. 재화와 서비스는 생산-->유통-->소비-->생산-->유통…으로 순환을 거듭하지요. 이처럼 재화와 서비스가 시장에서 순환을 거듭하는 것을 두고 ‘경제순환’이라고 합니다. 경제가 순환하면서 규모가 점점 커지면 ‘경제가 성장한다’고 말합니다. 만약 경제가 순환하면서 규모가 점점 줄어들면‘경제가 퇴보한다’고 말합니다. 아래그림을 보면 좀더 쉽고 빠르게 정리가 될꺼에요!1 ^&^


    흔히 경제가 성장한다느니 퇴보한다느니 말합니다. 하지만 경제 상태를 그림 보듯 한눈에 볼 수는 없습니다. 경제 흐름을 종합적 전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경제전문가나 연구기관, 정부 경제정책 당국 등은 주로 ‘경제지표’를 씁니다. 경제지표는 경제의 주요 부문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측정해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나타냅니다. 숫자로 된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국제수지, 실업률 같은 것들이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죠? 경제는 보기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그 하나는 돈의 흐름을 좇아 경제를 크게 실물경제와 금융경제로 나눠 보는 경우입니다. 다른 하나는 경제를 보는 시야를 크게 잡느냐 작게 잡느냐에 따라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로 구분하는 경우입니다. 미시경제 현상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는 미시경제지표, 거시경제 현상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는 거시경제지표라고 합니다.


    <보너스 코너: 경제지표에서 플로우와 스톡의 개념차이>


    <문제풀이 코스ㅋㅋㅋ>

    총요약도 했으니, 이젠 간단한 문제풀이를 할께요!! 여기까지 하면 대충 경제가 무엇인지 감히 잡힐꺼라 믿어요!! ^&^ 자!! 조금만 더 힘냅시다!! ^^ 파이팅!!


    1> 다음상황에서 서비스라는 말은 경제의 정의와 관련지어 생각해볼 때 바르고 쓰이고 있는지 O,X로 답해보세요. 상황: 어느 음식점에서 회식을 하고 있는 금오기업 사람들에게 주인이 다가와 시키지 않은 큰 음식 그릇을 내려놓았습니다. 그러자 김대리가 나서서 물었어요. “아니, 이것 공짜로 주시는 거에요”라고 하자 주인이 “네, 이것은 제가 오늘 서비스 하는 것이니 많이들 드세요” 라고 대답을 했다. 주인장이 이야기한 서비스는 과연 경제적 이미의 서비스의 개념이 맞을까요??( X ) 그렇죠 아니죠 ^&^ 서비스란 사람의 경제적 욕망을 채워주는 재화중에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점에서 일반재화와 구별되는 인간의 수고를 말합니다. 일종의 고객을 위한 봉사라고 할 수 있겠죠. “공짜”라는 말을 우리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주세요 혹은 서비스 받았다고 하는데, 엄밀히 이야기 하면 틀린말이죠!! 이제 아시겠죠!!


    2> 경제의 성장과 퇴보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경제를 나라 단위로 지칭할 때 국가경제 혹은 국민경제(national economy)라고 한다.

    ② 가계, 기업, 정부를 국민경제의 3대 주체라고 한다.

    ③ 재화와 서비스가 생산 ->유통->소비->생산으로 순환을 거듭하는 것을 두고 “경제순환”이라고 한다.

    ④ 경제가 성장한다고 해서 반드시 시장에 유통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 4번, 경제가 성장하면 시장에 재화와 서비스가 더 많이 생산->유통-소비 된다. 즉 시장에 유통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3>경제지표에 대한 다음 설명은 옳은지 0,X로 답하시오.

    문제: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은 경제지표이며 국제수지는 경제지표에 해당하지 않는다. ( X ) ==>국제수지도 경제지표에 해당합니다.


    4> 김조아 씨는 경제이론을 꽤많이 안다. 그러나 금융 현장에서 돈이 어떻게 흐르는지 잘모르고, 재테크 솜씨도 형펀없다. 아마 이론에만 밝고, 실물경제에 대해서는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X ) ==> 실물경제는 금융경제(화폐경제)와 상대되는 말로 쓰이며 실물경제 하면 흔히 이론경제와 상대되는 의미로 실제경제 혹은 현실경제와 같은 의미로 쓰는데, 잘못된 비교입니다. 실물경제와 금융경제는 밀접히 연결되어 있지만, 실물경제를 모르고 금융현장에서 돈이 어떻게 흐르는지 곧 금융경제의 실태와는 일단 별개의 문제입니다.


    5> 거시경제와 미시경제, 금융경제와 실물경제의 구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개별 금융기관의 연간 매출액 수치는 미시경제지표라고 볼 수 있다.

    ② 실물경제와 금융경제는 늘 함께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금융경제가 실물경제를 벗어나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③ 미시경제의 전형적 주체는 기업의 이익, 가계의 저축, 국민소득 등을 들 수 있다.

    ④ 경제성장이나 재정, 실업, 인플레이션은 전형적인 거시경제 주체이다.

    =>> 3번, 국민소득은 거시경제지표에 해당합니다.


     

    앞으로 진행하게될 강의목차에요!! 오늘 한 강의는 경제란 무엇인가였습니다. ㅋㅋ

    앞으로 갈일이 ㅋㅋ 그래도 힘내고 갑시다.. 경제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알고나서 SDE님이나 상승미소님 글을 읽으면 아마도 큰 도움일 될꺼라 믿어요!! ^&^ 닥터윤 올림 꾸벅 ^^

     

    (닥터윤의 알기쉬운 경제 강의 목차)


    1강 경제의 정의 및 의의 1. 경제란 무엇인가? 2. 경제의 기본원리

    2강 경제의 성장 3. 경제지표란 무엇인가? 4. 경제의 크기와 측정 5. 경제성장과 생산성

    3강 경기흐름과 경기정책 6. 경기의 순환 7. 경기동향 파악방법 8. 경기정책의 역할과 영향

    4강 물가와 시장 9. 금융과 경제 10. 금리 동향 파악방법 11. 금융기관의 종류와 역할  12. 금융시장의 짜임새 13. 금융정책의 역할과 영향

    5강. 재정과 조세 14. 재정의 구조 15. 조세이슈

    6강. 대외거래 16.국제수지의 구조 17.시장개방과 대외투자

    18.환율변동의 원리와영향 19.한국 무역의 주요이슈

    7강 산업 20. 한국산업의 현황21. 한국산업의 주요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