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는 세상/이것저것

[스크랩] 영어 발음 기호표

Mr. Han 2009. 1. 22. 16:14
 
 
홀소리(모음)
닿소리(자음)
a
k/g
ae
n
ya
d
yae
r/l
o
m
e
b
yo
s
ye
ng
o
j/g
wa
ch
wae
k/ch
we
t
yo
p
u/oo
h
wo
k
wae
t
wi
b
yu
c/sh
u
tch/j
ui
 
 
i/ee
 
 
 
 
(1) 모음(Vowels)
 
성대가 울려 나오는 소리로서, 입 안의 아무 곳에서도 장애를 받지 않는 소리.
 
① 단모음: 짧게 발음되는 모음
read, tent, get, cap, apple, cat, sit, this, it, dog, fog, frog, omit
good, book, look, above, China, come, son, sun, box
 
② 장모음: 길게 발음되는 모음
eat, see,father, girl, bird, saw, ball, food, soon
 
③ 2중모음 : 두개의 모음을 연달아 발음하는 것으로서 앞의 모음은 길고 세게 발음하고, 뒤의 모음은 짧고 약하게 발음.
game, they, , my, ice, now, house, toy], boy, know, old, hear, near
chair, air, hear, near,poor, tour
 
④ 3중모음: 세개의 모음을 연달아 발음하는 것
tired, fire, hour
 
(2) 자음(자음, Consonants) 
 
혀 코 이 입술 따위에 의하여 장애를 받으면서 나오는 소리. 
성대가 진동하며 나는 소리를 유성음, 성대가 진동하지 않는 소리를 무성음이라 함.
모음은 모두 유성음에 속한다.

get, give, sing, ink, that, then, thing, mouth, show, shower
Church, kitchen,judge, pleasure, week], why, yes, year, sun, stand
lose, boy's, houses, telephone, enough
 
알파벳 
소리
유사한 우리말 발음
단어 예
A
[ æ ]
[애]
cat /kæt/
man /mæn/
혀끝을 아랫니 뒷면에다 밀어 붙어 혀끝이 아랫니 뒷면과 밀착되도록 하고 입모양은 적당히 벌린다음 혀의 면이 보일 정도로 혀끝을 아랫니 뒤에 두고 혀를 앞으로 밀어 붙이면서 소리가 혀의 전면에서 난다는 기분으로 [애]라고 발음한다.
E
[ ε ]
[에]
egg / εg/
men /mεn/
혀의 뒤쪽 양측면이 양어금니 안쪽면에 편안하게 닿도록 하고 입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턱과 혀는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에/ 소리를 냅니다.
A 와 O
[ a ]
[아]
clock /klak/
mop /map/
혀끝을 아냇니와 잇몸이 만나는 근처에 가볍게 닿게 하고 입술은 적당히 넓게 벌린 상태에서 /아/ 발음한다.
I
[ i ]
[이]
ill /il/
sit /sit/
혀끝이 아랫니 뒷면에 밀착되게 하고 입술은 옆으로 가볍게 벌어진 상태에서 혀를 움직이지 말고 /이/라고 발음한다.
O
혹은
a, au, ou, aw
[ ]
[오]
law
bought
혀의 끝을 아래로 낮추면서 혀에 힘을 빼고, 혀끝이 아래 잇몸 뒷면에 가볍게 닿도록 하고 둥근 모양을 한 입술을 가볍게 앞으로 약간 밀어 돌출시킨 다음 [오]라고 발음한다.
U/OO
[ u ]
[우]
book /buk/
hood /hud/
혀끝이 아랫니 뒷면에 가볍게 닿게하고 입술은 약간 벌어지면서 약간 둥근 형태로 만들면서[우]라고 짧게 발음한다.
U/O
[ ]
[어]
love
fun
stuck
혀끝이 아랫니 뒷면에 가볍게 닿도록 하고 입술을 편하게 약간 벌리면서 혀의 중간 부분을 약간 들어올리면서 /어/발음합니다.
 
 
 
알파벳 
소리
유사한 우리말 발음
b
[ b ]
bake
tribe
입술을 닫고 /음----/소리를 입안에서 내면서 /ㅂ/발음을 준비한 다음 /b/를 발음한다
d
[ d ]
deep
ride
   혀를 윗니 뒷면 잇몸과 닿는 부분에 밀착시켜 공기를 차단시킨 다음, 미리 성대와 입안이 약간 울리게 하는 준비과정을 거쳐 /d/발음한다.
f
[ f ]
[ㅍ흐]
fan          
fat
윗니로 아래 입술을 누르고 바람을 내보낸다.
g
[ g ]
give
ghost
혀의 뒷부분 즉 목구멍 근처에 있는 혀의 뿌리 부분을 밀어 올려 식도 가까운 곳의 입천장과 닿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다 공기를 막고 있던 혀의 뒷부분을 아래로 내려 공기를 하면서 성대가 떨리도록 /r/소리를 낸다.
k/c
[ k ]
key
coast
혀의 뒷부분 즉 목구멍 근처에 있는 혀의 뿌리 부분을 밀어 올려 식도 가까운 곳의 입천장과 닿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나서 공기를 막고 있던 혀의 뒷부분을 아래로 내려 공기를 갑자기 방출하면서 /ㅋ/소리를 낸다.
[ l ]
ㄹㄹ
leg
telephone
혀끝의 약간 아래 면을 윗니 뒷부분과 딱딱한 잇몸이 이어지는 부분 근처에 가볍게 갖다 대고 발음합니다. /l/발음은 유성음이기 때문에 발음 시 성대가 떨어야 하며 우리말에 있는 발음이므로 /l/ 발음 자체를 발음하기는 어렵지 않으나, /r/ 발음과 혼동 되므로 l로 시작되는 단어는 앞에 "을"자를 붙여서 읽으면 정확하며 "R"과의 구별도 가능하다.
p
[ p ]
repair
pill
양 입술을 완전히 붙이고 공기가 새어 나오지 못하게 한 다음 순간적으로 입술을 열면서 입속에 압축된 공기를 순간적으로 방출하면서 /프/소리를 낸다.
 
 
 
알파벳 
소리
유사한 우리말 발음
r
[ r ]
red
right
혀를 위로 말아서 "어-"라고 발성을 하며, 이때 혀는 입천장을 닿지 않는다.
s/c
[ S ]
/ㅅ/ 혹은 /ㅆ/
sad
essay
sauce
혀의 전면 윗 부분을 들어 올려 딱딱한 입천장 쪽으로 가져가며 혀끝의 아랫부분이 아랫니 뒷면에 살짝 닿게 하며 혀의 측면이 어금니 안쪽을 가볍게 밀면서 공기를 혀의 윗면을 거쳐 혀끝과 윗니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밀어면서 /스/하는 소리를 낸다.
t
[ t ]
coat
time
   혀끝의 윗면을 윗니 뒷면과 이어지는 잇몸 부분에 밀착하여 공기를 막고 있는 혀를 재빨리 아래로 떨어뜨려 공기가 순간적으로 방출하며 성대가 떨리지 않은 상태에서 /x/소리를 낸다
v
  [ v ]
ㅂ흐
vase
very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발음을 한다.  
z/s
[ Z ]
freezer pause
   윗니와 아랫니를 붙이고 혀를 그 뒤로 붙인 뒤 "즈" 발음을 한다. /z/발음은 /s/발음과 구강 구조와 입모양이 동일하나 /s/발음이 성대가 떨리지 않은 반면, /z/발음은 성대가 떨리게 발음합니다. 공기를 강하게 밀어내면서 발음한다.
th
[ ]
우리말에 없는 발음
thin / in/
math /mæ /
three / ri:/
author / : r/
  혀를 내밀어 윗니에 붙인 후 바람을 밀어낸다.
th

[ ]

우리말에 없는 발음
that / æt/
father /fa r/
these / i:z/
혀끝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위치시키고 공기를 밖으로 밀어내면서 "더"라고 소리를 낸다.
/ / 발음과는 달리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①  자음이 세 개가 겹치면 중간의 자음은 소리가 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exactly 이그'Z애클리      perfectly 퍼'-RF에,클리

 
bag, back 의 차이 : "G"와 같은 유성음이 나올때는 그 앞의 모음이 길어지고 "K"와같 은 무성음이 나올때는 발음이  짧아 진다.

 
dr"" tr" : 미국에서 "D" 나 "T" 가 과 붙어 있을 때는 "ㅈ" 과 "ㅊ" 발음을 낸다.  
  dream '쥬뤼임      drink '쥬륑크     tree 츄뤼이       truck 츄뤜
 
④ "gh" 는 때때로 "F" 발음이 날 경우가 있거나 묵음이 될 경우도 있다.
 
cough '카F             tough '터F
       high '하이      though (th)'도우

 
"ph" 는 모두 "F" 발음으로 난다. 
 
모음
구분
[a]
[e]
[i]
[o]
[u]
[∧]
[ε]
[æ]
소리
기호
자음
1. 유성자음(16개)
구분
[b]
[d]
[j]
[l]
[m]
[n]
[r]
[v]
[z]
[tz]
[ð]
[h]
[g]
[ŋ]
소리
기호

2. 무성자음(10개)
구분
[f]
[k]
[p]
[s]
[t]
[θ]
[t]
[ŋ]
소리
기호
 
★구강원리★

발음기호
구강원리
입을 크게 벌리고 우리말의 [아]가 아니라 목청이 떨리는 듯한 부드러운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옆으로 최대한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에]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옆으로 최대한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동그랗게 만드록, 부드럽고 말은 [오]소리를 내면서 입안 전체가 울리는 것 같은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우-]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상하로 조금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어]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동그랗게 만들고, 부드럽고 맑은 [오] 소리보다 입술에 조금 더 힘을 주어서 [오]와 [아]의 중간인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 모양으로 벌리고, [∧]는 [어/아] 소리, [ε]는 [에]소리가 불완전한 듯이 반탁음에 가까운 소리를 냅니다.
혀 끝을 아래 이빨 안쪽에 내려 민 상태를 유지하면서 [애-]소리를 길게 된소리 음으로 냅니다.
혀를 윗니 안쪽에 대고 있다가 입술을 좌우로 벌리면서 혀를 윗니 안쪽에서 떼면서 짧게 내뱉듯이 [드]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 동양인들은 영어권의 정상적인 혀붙이는 습관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조금 더 강하게 혀를 문다. [d]는 혀의 끝에서 1mm 안쪽을 아래위 이빨로 문다.
혀끝을 윗니 끝에 대고 있다가 입술을 좌우로 벌리면서 혀를 윗니 끝에서 떼면서 짧게 내뱉듯이 [트]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 동양인들은 영어권의 정상적인 혀 붙이는 습관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조금 더 강하게 혀를 문다. [t]는 혀의 끝을 아래위 이빨로 문다.
윗니와 아랫니로 혀끝을 조금 물고 있다가 입술을 좌우로 벌리면서 물었던 혀를 떼면서 짧게 내뱉듯이 [느]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 동양인들은 영어권의 정상적인 혀붙이는 습관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조금 더 강하게 혀를 문다. [n]는 [d]음보다 1mm 안쪽을 아래위 이빨로 문다.
혀끝으로 입천장을 누르면서 [러] 소리를 박차듯이 내는 순간 혀는 입안 중간에 위치하면서 경쾌하고 맑은 소리가 나옵니다.
혀를 말아 입안 중간에 띄우고 약하게 떨면서 맑지 못한 [르] 소리를 내면서 입술을 좌우로 벌리고 타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냅니다.
윗니로 아랫입술 안쪽을 물었다가 떼면서 약하게 [프] 소리처름 내면서 입술은 좌우로 움직이는 형태가 됩니다.
윗니로 아랫입술 안쪽을 물었다가 떼면서 약하게 [브] 소리처럼 내면서 입술을 좌우로 움직이는 형태가 됩니다.
입술을 다물었다가 급하게 옆으로 엷게 벌리면서 m은 [므], [b]는 [버], [p]는 [퍼] 소리가 입술 밖으로 퍼지듯이 음을 짧게 냅니다.
아랫입술의 좌우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리면서 최대한 사각형을 만든 상태에서 윗입술을 움직이지 않고 [k]는 [크], [g]는 [그], [h]는 [흐]처럼 된소리를 냅니다.
앱술을 옆으로 최대한 벌린 형태를 유지하면서 s는 [스], z는 [즈]의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는 [츠], 는 [즈]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쉬]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입술을 모아서 앞으로 내민 상태를 유지하고 [즈]의 소리가 울리면서 모아지는 굴절음 소리를 냅니다.
윗니와 아랫니로 혀 중간까지 가볍게 물면서 빼냈다가 안쪽으로 들이밀면서 []는 [쓰], []는 [뜨] 소리를 둔탁한 느낌으로 냅니다.
입술을 가볍게 모아서 옆으로 벌리면서 [응]에 가까운 소리를 냅니다.

 

메모 :

'사람사는 세상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심자를 위한 불교 이해하기-A  (0) 2009.01.22
초심자를 위한 기초 교리 상식  (0) 2009.01.22
여자와 공   (0) 2009.01.22
[스크랩]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0) 2009.01.20
2009년 1월 5일  (0) 2009.01.05